한국은행 기준금리
3.5% 동결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8월 22일 오늘 오전, 기준금리를 연 3.5%인 현재수준으로 동결하는 것을 밝혔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는 올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강하게 어필했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신중한 입장입니다. 아무래도 올해 안에는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어렵다는 것이겠지요.
미국 잭슨홀미팅 이후
주가 오를까 내릴까
미국 현지시각으로 8월 22일부터 24일까지는, 전 세계 주요국가의 중앙은행 총재 등 세계경제의 주요 의사결정자들이 다 함께 모여 경제를 논의하는 잭슨홀 미팅이 열립니다.
이 미팅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인 제롬 파월이 금리인하에 쐐기를 박을 것인지, 인하 한다면 그 폭은 얼마나 가능할지, 다들 궁금해하고 있어요. 잭슨홀 미팅 이후에 미국의 주가가 오를지 내릴지 저도 궁금합니다.
미국의 나스닥 지수와 S&P 500 지수는 지난 7월 11일 정점을 찍은 이후 무서운 속도로 폭락하더니, 8월 5일에 바닥을 터치하고 이후로 계속 오름세를 유지중입니다.
아무래도 주요발표 직후에는 변동성이 커지는 것이 주식시장입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금리인하가 큰 폭으로 진행될 것이 점쳐진다면 주가가 엄청 오를 것이고, 예상보다 금리인하 폭이 적거나 혹은 금리인하 시기를 또 미루는 발언이 나온다면 주가는 엄청 떨어질 것입니다.
국내 코스피 2,700 회복
환율 1,300원대 안정
국내 코스피지수는 외국인의 매수세 덕분에 코스피 2,700선을 회복했습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이후 외국인의 직접투자가 14개월 연속 하락세라고 하는데요, 이 영향을 우리나라도 조금은 받는 것인지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지수가 안정권으로 들어섰습니다.
지난 4월부터 지나치게 높아지던 환율이 최근 떨어지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통화의 가치가 오르면서 미국 환율이 떨어진 것이죠. 이번 환율 하락으로 원화가치의 저평가가 어느정도 해소 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우리나라의 통화가 저평가된 상태로 다른 나라에서 물건을 수입하면 같은 물건을 훨씬 비싸게 사들이게 되므로 '환율이 떨어져야' 물가안정에 유리합니다.
원화 가치의 저평가는 1달러에 1,400원까지 닿았던 고환율 영향이 컸는데요, 이번에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이 커지고, 미국의 경제 둔화로 달러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원화 가치가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미국보다 낮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과거처럼 1달러에 1,200원대로 돌아가기란 어렵습니다. 미국의 계속해서 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당분간은 1,300원대가 '새로운 평균가'로 자리매김할 모양입니다.
유한양행 폐암 치료 신약
미 FDA 승인!
유한양행의 폐암 치료 신약인 '렉라자'가 전체 폐암의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냈었죠! 국내 제약회사의 국산 신약이,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을 이전해 항암 신약으로의 출시까지 이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해요!
렉라자의 FAD 승인에 힘입어 유한양행의 주가도 오름세를 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4년 8월 22일, 오늘까지의 경제뉴스 톱아보기였습니다. ^^
'완전 쉬운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하반기 주가 전망, 지금 투자해도 될까? (3) | 2024.08.28 |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반도체 하락한 미국 주식 (2) | 2024.08.27 |
미국주식 하는 이유, ETF 하는 이유, 미국 ETF 추천 (0) | 2024.08.20 |
2024 하반기, AI 주도할 종목은 어디? (1) | 2024.07.10 |
테슬라 주가 400달러까지 갈까? (1)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