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세 연납 신청하고
최대 5% 할인받자
매년 1월은 자동차세를 납부하는 달입니다. 이미 우편물 고지서를 받으신 분들도 계실 거고, 아직 받지 못한 분들도 계실 텐데요. 오늘은 자동차세 납부와 연납 신청에 대해 알아보고, 자동차세를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 또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자동차세 납부 기한은?
2. 자동차세 연납 할인이란?
3.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는 방법
4. 자동차세 무이자 할부되는 신용카드
1. 자동차세 납부 기한은?
자동차세 고지서를 1월에 받으신 분들이 많지만, 사실 자동차세 납부 기한은 1월이 아닙니다. 자동차세는 선불이 아니라 후불 개념으로, 1월부터 6월까지 자동차 소유에 대한 세금을 6월 말까지 납부하고, 7월부터 12월까지의 세금을 12월에 납부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하지만 1월부터 12월까지 사용분에 대한 세금을 1월에 미리 납부함으로써 세금 할인 혜택을 받는 것이 바로 '자동차세 연납 할인'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 자동차세 연납 할인이란?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자동차세 납부는 원래 후불 개념입니다. 하지만 일 년치 자동차세를 1월에 미리 납부함으로써 할인 혜택을 받는 것을 '연세액 납부 할인' 줄여서 '연납 할인'이라고 하지요.
연납 신청은 1월뿐만이 아니라 3월, 6월, 9월에도 남은 기간의 세금을 한꺼번에 납부하며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월에 신청하여 납부하는 것이 할인율도 가장 높고 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에, 오늘은 1월에 신청하는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월에 자동차세 연납 신청을 하면 납부해야 할 세금의 5%를 할인받을 수 있는데요, 실제로 계산해 보면 5%가 아니라 4.58%의 할인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1월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2월~12월까지의 세금에 대해서만 5% 할인 적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오는 계산입니다.
자동차세 연납 할인이란, 나중에 납부해도 될 세금을 미리 납부하여 할인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연납으로 신청하지 않아도 불이익은 없습니다. 각자 형편에 따라서 미리 납부하고 할인을 받아도 되고, 1월~6월까지의 사용분을 6월 말에 납부해도 가산세는 없습니다.
3.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는 방법
자동차세 연납 할인을 받으려면 자동차세 연납 신청을 미리 해야 합니다. 이미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던 기존 운전자가 과거에 연납한 이력이 있다면 추가 신청 없이도 1월에 우편 혹은 전자고지서를 받으셨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에 새로 자동차를 보유하게 되신 분이나 과거에 한 번도 연납 신청을 한 적이 없는 운전자라면 처음 한 번은 자동차세 연납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전국 지방세 신고, 납부 홈페이지인 '위택스(Wetax)'에서 하셔야 합니다. 위택스는 지방세를 쉽게 확인하고 바로 납부할 수 있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회원가입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홈페이지라서 이런 사이트는 미리 회원가입을 해두고 친해지는 것이 유리합니다.
인터넷 뱅킹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처음 회원가입을 하면서 공인인증서 등록을 해두시면 나중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도 걱정이 없고, 납부해야 할 지방세도 미리미리 알 수 있으며 세금 납부도 그만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자동차세 연납 신청이 언제 어느 때나 다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앞서 설명드린 대로 1월, 3월, 6월, 9월에만 가능한데요, 그중에서도 16일부터 말일까지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1월은 1월 16일~ 1월 31일까지 신청할 수 있지요.
지금은 자동차세 연납 신청 기간이라 위택스 홈페이지에서도 메인화면에서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하시고, 로그인 하신 후, '자동차세 연납 신청' 아이콘을 꾸욱~ 눌러주세요.
4. 자동차세 무이자 할부되는 신용카드
과거에는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하면 최대 10%까지 할인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찌 된 연유인지 지금은 자동차세 연납 할인율이 5%이며, 이 또한 단계적으로 축소되어 2025년에는 3%만 할인된다고 하네요.
연납 할인율은 갈수록 줄어들어 속이 상하지만, 그래도 우리에게는 '카드 무이자 할부'가 남아 있습니다. 일 년 치 세금을 한꺼번에 납부하면 아무래도 금액적 부담이 크지요. 이럴 때는 카드 무이자 할부 혜택을 받으면서 연납 할인 5%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2024년 1월 기준) 지방세 납부 시 무이자 할부 혜택이 주어지는 카드는 현대, BC, 농협, 하나, 우리카드가 있고요, 은행 카드로는 수협, 전북은행, 광주은행카드가 있습니다. 세금 납부하기 전 내가 가진 카드가 지방세 무이자 할부가 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마시고, 무이자 할부와 연납 할인도 모두 챙기시길 바랍니다.
'완전 쉬운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증시 역대 최고성적 '불장' 급등 그 이유는? (0) | 2024.05.21 |
---|---|
5월 16일 나스닥 주가 최고가 경신, 그 이유는? (0) | 2024.05.17 |
경제적으로 부자되는 공식 5가지 (0) | 2024.01.18 |
주식계좌 개설하기 중개형 ISA 아직도 가입 안 했나요? (0) | 2024.01.10 |
연말정산 자녀 학원비 방과후수업 돌봄교실, 교육비 공제 놓치지 마세요 (2) | 2024.01.08 |